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품백 사건 조사 맡고 숨진 권익위 국장은 누구

by gambaru 2024. 8. 12.
반응형

김건희 명품백 조사 후 이를 사법기관 수사에 넘기지 않고 종결 처리해 후 지탄을 받고 있는 국민권익위원회의 담당 국장이 최근 극단 선택을 했습니다. 유족과 지인들은 진상을 규명해 억울한 죽음을 풀어달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정황으로는 그는 명품백 사건을 종결 처리하려는 권익위 고위층 때문에 상당한 심적 갈등을 겪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권익위 국장은 누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 등 보도를 보면 숨진 이는 지난 3월부터 권익위 부패방지국장 직무대리를 맡고 있던 김모(53) 국장입니다. 그 전에는 권익위 청렴연수원장, 심사보호국장, 대변인, 고충처리국장, 운영지원과장, 청렴조사지원과장 등을 지냈습니다. 그는 우체국 공무원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식품의약품안전처를 거쳐 2004년 부패방지위원회로 옮겨 반부패·청렴 업무를 주로 맡아왔다고 합니다. 영국에서 부패방지 분야 석사학위를 땄고, 주경야독하며 최근 행정학 박사학위까지 취득하는 등  누구보다 부패방지 업무에 진심이었다고 합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08년 2월 국가청렴위원회·국민고충처리위원회·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가 권익위로 통합·출범할 때부터 부패방지위의 후신 국가청렴위원회 출신인 그는 ‘청렴 및 부패 방지’ 업무의 중심을 잡아 왔다고 지인들은 평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권익위 출범 초부터 김 국장과 함께 일했다는 지인은 “부패방지 기구의 독립 등에 소신도, 애착도 강하던 친구인 데다가 낯설 수 있는 민간협력까지 잘 해내던 이”라고 했습니다. 2008년 3월 권익위 기획조정실 민간협력팀에서 당시 팀장이던 김 국장과 함께 근무했던 안태원 전 한국투명성기구 상임이사는 “권익위 출범 이후에도 위원회 위상과 활동에 대해 고민이 많았던 분”이라며 “특히 청렴도 평가의 틀을 잡는 데 일조한 인물로 평가 업무에 있어 권익위 최고 능력자가 아닌가, 권익위 내부에서는 다 인정하는 분”이라고 했다고 경향신문은 전했습니다.

포용력 있는 태도와 강직함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MB 정부는 투명사회 운동 등 시민사회 요구를 마치 ‘규제’처럼 받아들였다”며 “그런 분위기 속에서도 김 국장은 공직사회 안에서 진정성을 갖고 민간의 요청을 대하던 공무원이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김 국장은 ‘작은 변화라도 이뤄야한다’며 MB 정부에 등을 돌리려는 시민사회를 설득했다고 합니다.

공직사회 청렴 문제에는 물러서지 않는 강단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안태원 전 이사는 김영란법상 식사비 한도 상향 문제를 이야기던 중 김 국장이 “공직에 있는 사람은 아예 안 얻어먹을 생각을 해야지, 3만원에서 더 올리냐 마냐 하는 게 말이 되나”라 말했던 적이 있다면서 “그만큼 강직했던 사람”이라고 회고했습니다.

반응형